건강한 임신과 출산을 위한 '임신 사전건강관리 지원사업'을 소개해드립니다. 최근에는 결혼을 하는 평균 나이가 매우 높아지면서 노령 출산으로 인한 가임력에 대한 관심이 많아지고 있는데요.
오늘은 2025년 임신 사전건강관리 지원사업(가임력 검사비 지원) 신청대상과 방법, 지원금액, 신청에 필요한 서류까지 상세하게 알아보는 시간을 갖도록 하겠습니다.
임신 사전건강관리 지원사업
2025년부터 혜택이 확대된 가임력 검사비 지원은 기혼, 미혼에 상관없이 20세~49세의 남녀 모두를 지원하고 있어 나와 내 배우자의 가임력을 미리 확인하고 대비 할 수 있어 요즘 같이 출산률이 매우 낮은 시대에는 매우 중요한 지원사업입니다.
1. 신청대상
✅가임력 검사를 희망하는 20~49세 모든 남녀
- 결혼, 자녀 여부와 상관없음
- 내국인 배우자가 있는 외국인도 지원 가능(별도 비자 조건 없음)
2. 검사항목 및 지원횟수
✅여성 검사항목:
난소기능검사(AMH), 부인과 초음파 검사(자궁, 난소 등)
✅남성 검사항목: 정액검사(정자정밀형태검사)
✔️지원횟수: 주요 주기별 1회(최대 3회 지원)
- 29세 이하(제1주기)
- 30~34(제2주기)
- 35~49(제3주기)
3. 지원금액
✅여성 지원금액: 최대 13만 원
✅남성 지원금액: 최대 5만 원
- 실제 검사 비용 기준 지원: 예시_ 검사 비용 10만 원 발생하면 10만 원 지원
4. 신청 및 청구방법
지원절차 및 청구
1. 검사비 지원 신청
가임력 검사를 희망하면서, 임신 사전건강관리 지원(가임력 검사비 지원)이 신청이 필요한 사람들은 온라인 e-보건소 사이트를 통한 신청방법과 주소기 관할 보건소에 직접 방문하여 신청 가능합니다.
- 온라인 신청방법: e-보건소 홈페이지에서 신청
- 오프라인 신청방법: 관할 보건소 방문 신청
2. 검사의뢰서 발급
검사비 지원 신청을 접수했다면, 접수일 기준 5일 이내(주말 및 휴일 제외) 신청 결과가 결정되어 검사의뢰서가 발급됩니다. 검사의뢰서를 가지고 병원을 방문해야 합니다.
- 검사의뢰서 - 가임력 검사를 희망하는 병원에 제출
3. 검사 및 결과상담
검사의뢰서를 제출하고 가임력 검사를 진행 후 발생한 검사 비용은 먼저 결제합니다. 단, 임신 사전건강관리 지원사업 참여 의료기관에서 실시된 검사만 인정되며, 참여 의료기관이 아닌 병원에서 진행된 검사는 지원하지 않습니다. 때문에 방문 예정인 병원이 지원사업 참여 병원인지 확인이 필요합니다.
- 신청일로부터 3개월 이내 검사를 받아야 함
- 검사의뢰서 제출 필수
- 병원은 예약 후 방문을 권고
- 임신 사전건강관리 지원 참여 의료기관 확인 필요
↑↑↑
[지원사업 참여 의료기관 리스트]
4. 검사비 청구
가임력 검사가 끝나고 결과상담까지 완료하셨다면, 검사일로부터 1개월 이내 온라인 e-보건소 홈페이지 또는 주소지 관할 보건소에 검사비를 청구 서류를 접수하시면 됩니다.
- 검사일로부터 1개월 이내 청구
- e-보건소 홈페이지 또는 주소지 관할 보건소에 검사비를 청구 서류를 접수
5. 검사비 지급
임신 사전건강관리 지원(가임력 검사비 지원) 검사 비용을 청구하셨다면, 청구일로부터 3개월이내 청구한 검사비가 환급됩니다.
- 청구일로부터 3개월 이내 검사비 환급
5. 필요 서류
내국인 필요 서류
1️⃣검사비용 지원 신청서
2️⃣개인정보동의서
3️⃣주민등록등본 (또는 행정정보 공동이용 사전동의서)
외국인 필요 서류
1️⃣검사비용 지원 신청서
2️⃣개인정보동의서
3️⃣신청일 기준 외국인등록사실명 또는 국내거소신고사실증명
- 단, 행정정보 공동이용 사전동의서 제출 시 생략 가능
4️⃣내국인 배우자의 주민등록등본 (또는 행정정보 공동이용 사전동의서)
5️⃣내국인 배우자 주민등록등본상 혼인관계가 확인되지 않는 경우
- 혼인관계증명서 또는 청첩장, 사실혼 확인보증서 등 혼인 증빙서류
‼️1~3번 서류는 방문 신청 시 제출하는 서류로 온라인 신청 시 4~5번 서류만 제출
공통 청구 서류
1️⃣검사비용 청구서
2️⃣외래 진료비 계산서 영수증
3️⃣진료비 세부산정내역(세부내역서)
4️⃣본인명의 통장사본
‼️1번 서류는 방문 신청 시 제출하는 서류로 온라인 신청 시 2~4번 서류만 제출
제출 방법
관할 보건서 방문 제출
e-보건소 홈페이지 제출: jpg, pdf 형식의 파일 첨부
‼️ 작성에 필요한 서류를 e-보건소 홈페이지를 통해 다운 및 출력 가능합니다.
출산 가정 지원금 <고효율 가전제품 구입 비용 환급>
혹시 아이를 출산한 출산 가정에 정부에서 가전제품 구입 비용을 환급 지원해 주는 것을 알고 계신가요? 바로 '한전 고효율 가전제품 구매비용 지원사업'입니다. 대부분의 출산 가정에서는 임신
boja-papa.tistory.com
아이돌봄 서비스 지원대상 지원내용 신청방법
출산 장려를 위한 대표적인 정부 지원인 '육아도우미' 제도가 있습니다. 먼저 육아도우미는 이모님들이 집으로 찾아와 간단한 집안 청소 및 육아를 도와주는 제도입니다. 하지만 육아도우미 기
boja-papa.tistory.com
'생활정보 > 일상'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5 인천 드림체크카드(구직활동비 지원) 완벽 가이드: 신청밥방 지원대상 기간 혜택까지 (0) | 2025.03.15 |
---|---|
모바일 신분증(주민등록증) 발급 가이드: 발급부터 활용까지 최신 정보 제공 (0) | 2025.03.15 |
인천 천원주택, 신청 조건 및 방법 완벽 가이드 (0) | 2025.03.08 |
손 없는 날, 왜 우리는 특별하게 생각할까요? (0) | 2025.03.06 |
2025년, 놓치면 후회할 청년문화예술패스 완벽 가이드: 신청부터 활용 꿀팁까지 (0) | 2025.03.06 |
댓글